반응형 폰노이만1 폰 노이만 구조와 하버드 구조 폰 노이만 구조와 하버드 구조 최초의 전자계산기로 불리는 ENIAC 개발 프로젝트에 참가했던 수학자 존 폰노이만 (John von Neumman)은 I945년에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변경할 수 있는 프로그램 내장방식 모델을 제안하였습니다. 이렇게 하나의 메모리에 프로그램(명령어 집합)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컴퓨터가 필요한 내용을 인출하여 처리하는 방식의 기본적인 구조를 갖는 컴퓨터를 “폰 노이만 아키텍처” 라고 합니다. 폰 노이만 구조의 경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와 명령어가 뚜렷한 구분 없이 섞여있는 구조입니다. 명령어와 데이터가 함께 섞여있다 보니 메모티 병목현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러 명령을 동시에 처리하는 현대 컴퓨터의 병렬 처리방식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2022. 4. 2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