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진법의 개념
본문 바로가기
IT

진법의 개념

by 청솔모♡ 2022. 4. 22.
반응형

진법의 개념



진법의 개념은 숫자를 몇 개씩 묶느냐의 개념입니다. 2진법의 경우 2개가 되면 1묶이 되어 자리올림 되며,8진수는 8개가 되면 1묶음이 되어 자리올림 됩니다. 시계의
경우 12진법과 60진법을 조합하여 사용합니다. 인간의 경우 10진법을 사용하여 수를표현하지만,컴퓨터는 0과 1의 두 가지 숫자를 사용하는 2진수를 사용합니다.

10진수의 경우 0~9까지 10개의 숫자 밖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16진법의 경우 더 많은
수가 필요하므로 알파벳 A, B, C, D, E, F를 사용하여 나머지 수를 표현하게 됩니다.
즉 16진수 A는 열 개,B는 열한 개,C는 열두 개를 의미합니다. 16진수는 열여섯 개가되면 한 묶음이 되므로,16진수 10은 열여섯 개를 의미합니다.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2진수를 10진수로의 변환은 까다롭지만,8진수와 16진수로 간단허 변환할 수 있습니다. 주로 컴퓨터에서는 2진수를 16진수로 변환하여 표기합니다.
따라서 2진수와 8진수,16진수 변환이 시험에서도 자주 출제가 됩니다.

반응형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드디스크  (0) 2022.04.22
운영체제와 메모리 용량  (0) 2022.04.22
순서 논리회로  (0) 2022.04.22
자원 할당 그래프와 교착상태  (0) 2022.04.22
인터럽트의 종류  (0) 2022.04.2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