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일반'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컴퓨터일반3

순서 논리회로 순서 논리회로 조합 논리회로는 논리 게이트(Logical gate)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입력값에 의해 출력 값이 결정되는 회로로,앞서 학습한 바와 같이 반가산기,전가산기,디코더,인코더,멀티플렉서 등이 조합논리회로에 해당합니다. 조합 논리회로는 입력값에 대해 특정 출력값이 필요한 경우 여러 논리게이트를 조합하여 다양한 장차를 구성하게 됩니다. 조합 논리회로에 기억소자를 포함하여 출력값을 기억할 수 있는 회로를 순서 논리회로.또는 순차 논리회로라고 합니다. 순서 논리회로는 플립플롭 회로를 사용하여 출력 값을기억합니다. 입력 값으로만 출력 값이 결정되는 조합 논리회로와 달리,순서 논리회로는 현재 기억하고 있는 상태 값에 따라 다른 결과가 출력될 수 있습니다. 플립플롭 회로는 1비트 기억 소자로 CPU내 임시 .. 2022. 4. 22.
자원 할당 그래프와 교착상태 자원 할당 그래프와 교착상태 각 프로세스 별 자원할당 그래프를 통해 교착상태 발생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Pl, P2, P3 는 처리가 진행 중인 프로세스,Rl, R2, R3, R4는 자원이며 자원은 하나(Rl, R3) 또는 하나 이상R2,R4) 의 요소로 구성되고 할당받은 자원은 실선, 할달을 요청중인 경우 점선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가정합니다. 위 자원할당 그래프를 보면 간선의 사이클(cycle)을 포함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사이클을 포함하는 경우 교착상태가 발생했을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P1 프로세스는 R2자원을 점유한 상태에서 R1 자원을 요청합니다. 그러나 R1 자원은 P2 프로세스에게 점유되었고 P2 프로세스는 R3 자원을 요청하여 할당받기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그러나 R3 자원은.. 2022. 4. 22.
CPU의 4가지 상태 변화 CPU는 명령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4가지 상태 변화에 있게 되며,이를 메이저스 테이트 라고 합니다. 가장 먼저 명령어를 인출하고 해독하는 과정을 인출 사이클 (Fetch Cycle)이라고 합니다. 인출해온 명령이 직접 주소지정 방식일 경우 바로 실행사이클(Execute Cycle)로 넘어갑니다. (ADD, 100)이라는 명령을 인출했다면 명령 코드에 해당하는 ADD는 명령 레지스터로보내 제어장치의 해독기로 보냅니다.오퍼랜드에 해당하는 100번지 주소는 주소처리기로 보냅니다. 이 때 명령어에 포함되어 있는 모드비트를 통해 직접 주소지정 방식인지간접 주소지정 방식인지에 따라 다음 단계 사이클이 결정됩니다. 직접 주소지정 방식일 경우 실행 사이클로 넘어가게 되며,실행 사이클 동안에는 오퍼랜드부의 주소 100번.. 2022. 4. 21.
반응형